본문 바로가기
경제와 주식

알테오젠, 코스닥 1위, 적정 가치 및 주가는 얼마?

by Cactus Finance 2025. 2. 18.
728x90

최근 바이오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종목 중 하나가 알테오젠이다.
코스닥 시가총액 1위(2025년 2월 기준) 기업으로서,

SC제형(피하주사) 전환 기술을 보유한 점이 투자자들에게 큰 주목을 받고 있다.
그러나 최근 주가 변동성이 크고, 기업 가치에 대한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.
이 글에서는 애널리스트들의 리포트를 기반으로 알테오젠의 적정 가치를 분석하고,

현재 주가가 과연 합리적인 수준인지 살펴보겠다.


1️⃣ 알테오젠의 핵심 사업: SC제형 전환 기술

알테오젠이 주목받는 이유는 기존 정맥주사(IV) 제형을 피하주사(SC) 제형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보유했기 때문이다.
이 기술은 ALT-B4라는 히알루로니다제(Hyaluronidase) 효소 기반으로 작동하며,

기존 정맥주사를 보다 편리한 피하주사로 바꿀 수 있다.

 

SC제형의 장점

  • 투약 시간 단축 – IV는 30~60분, SC는 5~10분
  • 환자 편의성 증가 – 병원 방문 횟수 감소, 가정에서도 투약 가능
  • 제약사의 특허 연장 가능 – 기존 약물을 SC로 전환하면 추가 특허 보호 가능

알테오젠은 이 기술을 글로벌 제약사에 라이선스 아웃(License-out) 방식으로 제공하고, 계약금 및 로열티를 수익원으로 삼고 있다.
현재 MSD(머크), 산도즈 등과 계약을 맺었으며, SC제형 시장을 선도하는 할로자임(Halozyme)과 경쟁하는 구조다.


2️⃣ 주요 고객사 및 기술이전 현황

고객사 적용 약물 계약 현황

MSD (머크) 키트루다 SC 임상 3상 진행 중
다이이찌산쿄 엔허투 SC 임상 준비 중
글로벌 제약사 5곳 미공개 MTA(물질이전계약) 진행 중

특히 머크의 키트루다(Ketruda) SC제형 전환이 성공하면 알테오젠의 가치가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.
키트루다는 글로벌 매출 1위 항암제로, 2024년 기준 연매출 40조 원 규모다.
알테오젠이 키트루다 SC 전환에 성공하면, 로열티(추정 3~5%) 수익만으로도 수천억 원대 매출이 가능하다.


3️⃣ 적정 가치 분석: 애널리스트 리포트 비교

현재 증권사들은 알테오젠의 목표주가를 40만 원~73만 원 수준으로 제시하고 있다.

증권사 목표주가 주요 근거

신한투자증권 73만 원 SOTP 방식, 키트루다 SC 매출 반영
유진투자증권 40만 원 2031년 예상 로열티 수익 기반

신한투자증권은 SOTP(Sum of the Parts) 방식으로 평가하며,

키트루다와 엔허투의 SC제형 매출을 포함해 DCF(할인현금흐름) 모델을 적용했다.
유진투자증권은 좀 더 보수적으로 접근하여, 2031년 이후 발생할 로열티를 기반으로 기업 가치를 산출했다.


4️⃣ 투자 리스크: 특허 분쟁 및 로열티율 불확실성

1️⃣ 할로자임과의 특허 분쟁 가능성

  • 머크는 2024년 11월, 할로자임의 SC제형 특허(엠다제, MDASE)에 대해 특허무효심판(PGR)을 제기했다.
  • 이는 머크가 키트루다 SC 출시를 방해할 수 있는 특허 장벽을 사전에 제거하려는 전략적 조치다.
  • 알테오젠은 "자사의 ALT-B4 기술이 독자적이며, 할로자임과의 특허 침해 문제는 없다"고 해명했다.

2️⃣ 로열티율 불확실성

  • 신한투자증권은 키트루다 SC 로열티율을 5%로 가정했으나, 유진투자증권은 2% 수준으로 보고 있다.
  • 실제 로열티율이 낮게 책정될 경우, 예상 매출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.


5️⃣ 결론: 장기적 성장 가능성은 높지만, 보수적 접근 필요

📌 현재 주가: 30만 원대 (2025년 2월 기준)
📌 코스닥 시가총액 1위 (약 21조 원)
📌 주요 이슈: 키트루다 SC 상업화 성공 여부, 특허 분쟁

 

🔎 보수적 밴드: 35만 원 ~ 45만 원

키트루다 SC 성공 가능성 반영 (로열티율 2~3%)
경쟁사 할로자임 대비 할인 적용 (특허 불확실성 반영)
라이선스 아웃 계약 추가 성사 가능성 포함

단기적으로는 보수적인 주가 밴드가 적절하며, SC제형 기술이 실제 매출화되기 전까지는 35~45만 원 수준에서 등락할 가능성이 높음.


🔎 중립적 밴드: 45만 원 ~ 55만 원

키트루다 SC 2025~2026년 상업화 전제
로열티율 3~5% 가정
머크 외 추가 계약 발생 가능성 고려
코스닥 1위 기업으로서의 밸류 유지

키트루다 SC 임상 3상이 순조롭게 진행되면, 2025년 하반기~2026년 상반기에 50만 원대 주가 형성이 가능할 것.


🔎 낙관적 밴드: 55만 원 ~ 75만 원

SC제형 시장 확대 & 글로벌 제약사 추가 계약 성사
키트루다 SC 성공 + 엔허투 SC 성공
할로자임과의 특허 이슈 해결 &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보
SC 기술이 바이오업계에서 표준화될 경우

모든 조건이 맞아떨어질 경우, 2026~2027년에는 70만 원대 주가 도달도 가능하지만,

이는 상당히 낙관적인 가정이므로 현실적인 시나리오는 아니다.


🧐 최종 결론: 현실적인 주가 밴드는?

📌 단기 (~2025년 상반기): 35만 ~ 45만 원
📌 중기 (2025년 하반기~2026년): 45만 ~ 55만 원
📌 장기 (2026년 이후, SC제형 대중화 시점): 55만 ~ 75만 원 (최대 시나리오)

 

🚀 현재 주가는 30만 원대이며, 키트루다 SC의 임상 3상 결과 및 추가 라이선스 아웃 여부에 따라 단계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음.
🚀 단기적 급등보다는 장기적으로 SC제형 기술이 바이오 시장에서 자리 잡는지를 지켜보면서 투자 판단을 하는 것이 바람직함.

 

알테오젠은 SC제형 전환 기술이라는 독보적인 강점을 갖고 있으며, 머크, 다이이찌산쿄 등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력 중이다.


키트루다 SC가 성공적으로 출시된다면, 엄청난 로열티 수익이 기대된다.


다만, 특허 분쟁 가능성과 로열티율 조정 등 불확실성 요소가 존재하므로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.

 

👉 투자자는 단기적인 주가 변동성보다, 장기적인 SC제형 시장 성장성과 라이선스 아웃 성과를 지속적으로 체크할 필요가 있다.


참고문헌 및 출처

https://www.hankyung.com/article/202502042995i
https://blog.naver.com/goodinvest4/223689391299
https://blog.naver.com/kim-form/223715173334
https://blog.naver.com/blue260260/223670724157
https://cafe.naver.com/vilab/258330
https://www.edaily.co.kr/News/Read?newsId=01079126642071504
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08/0005154324
https://blog.naver.com/youktube/223705945325
https://blog.naver.com/youktube/223705673097
https://blog.naver.com/youktube/223709366001


 

728x90